Cadence Virtuoso 사용법 2(Cadence 초기 설정)
Cadence Virtuoso 사용법 2(Cadence 초기 설정)
가장 먼저 저번 포스팅에 띄운 virtuoso창에서 Option → User Preference를 눌러서 2번째 Command Controls 섹션에서 Option Displayed When Commands Start에 체크박스를 표시해 주고 바로 밑에 Undo Limit 128을 확인한다.
다음으로 virtuoso창에서 Edit → Add Library를 눌러 나오는 창에서(위 사진의 왼쪽) Directory 섹션을 통해 gpdk090_v4.6을 찾아서 들어가고 lib.oa22를 더블클릭 한 뒤 ok를 눌러준다. 그러면 libraries에(위 사진의 오른쪽) gpdk090이 추가된 것을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File → Save를 통해 저장 후위 창을 종료한다.
Library 생성
virtuoso창에서 Tools → Library Manager...을 클릭했을 때 나오는 새로운 창(밑에 사진 오른쪽)에서 File → New → Library를 선택하여 Library를 만들어준다.
새로운 Schematic이나 Layout을 만들기 위해서 새로운 Library를 만들어 줘야 하는데 나는 일단 이름 이니셜인 mjs로 설정하였다. 이후 Techonology File을 적용해야 하는데 이는 아래 사진과 같은 부분을 체크하고 ok를 눌러 넘어가면 된다.
최종적으로 아래 사진과 같이 Properties에서 techLibName에 gpdk090이 잘 참조된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쉽게 생각해서 내 librarie에서 gpdk090를 사용할 것인데 이를 넣어주고 확인하는 작업을 했다고 생각하면 된다.
다음 포스팅에는 실질적으로 오래 머무를 작업창을 띄우고 단축키등을 설명할 예정이다.
UNIX Permissin Mode
참고로 위 참조확인 사진에서 중간에 UNIX Permissin Mode에 Owner / Group / Other 이 나누어져 있는 걸 볼 수 있는데 이는 권한을 나타내는 것으로 파일을 "r : 읽기 허가, w : 쓰기 허가, x : 실행 허가, - : 권한 없음"으로 나타내며 chmod 명령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읽을 때 rwx를 하나하나 읽는 것이 아닌 8진수 모드를 사용해서 읽는다. 위와 같은 경우는 (4+2+1), (4+0+1), (4+0+1)으로 755라고 읽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