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dence Virtuoso 사용법3 Cadence Virtuoso 사용법 3(단축키 및 도구) Cadence Virtuoso 사용법 3(단축키 및 도구) 이번 포스팅에서는 cadence virtuoso 환경에서 설계를 하면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매번 사용해야 하는 Cell 만들기와 단축키등을 알아볼 예정이다. 한두 번만 해보면 쉽게 따라 할 수 있지만 나중에 회로를 다 만들고 나서 오류가 발생할 때, 수정해야 하거나 처음부터 다시 만들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부분이 바로 이번 포스팅에서 배운 것을 놓쳤을 때이기 때문에 이 점을 주의하자. Cell View 생성(Schematic) 저번 포스팅에서 띄운 창인 Library Manager에서 File → New → Cell View... 를 클릭한다. Cell의 이름과 Type을 설정해 준다. Schematic과 Layout을 구분하여 잘 골라줘야.. 2023. 6. 30. Cadence Virtuoso 사용법 2(Cadence 초기 설정) Cadence Virtuoso 사용법 2(Cadence 초기 설정) 가장 먼저 저번 포스팅에 띄운 virtuoso창에서 Option → User Preference를 눌러서 2번째 Command Controls 섹션에서 Option Displayed When Commands Start에 체크박스를 표시해 주고 바로 밑에 Undo Limit 128을 확인한다. 다음으로 virtuoso창에서 Edit → Add Library를 눌러 나오는 창에서(위 사진의 왼쪽) Directory 섹션을 통해 gpdk090_v4.6을 찾아서 들어가고 lib.oa22를 더블클릭 한 뒤 ok를 눌러준다. 그러면 libraries에(위 사진의 오른쪽) gpdk090이 추가된 것을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File → Save를 .. 2023. 6. 29. Cadence Virtuoso 사용법 1(LINUX) Cadence Virtuoso 사용법 1(LINUX) Full custom ic design을 하기 위해 cadence virtuoso를 이용하게 되는데, 학교에서 반도체 설계 교육을 받으면서 받았던 내용을 정리해 보았고 배우면서 겪었던 시행착오도 함께 포스팅하여 나와 같이 처음 접하는 사람들이 막히는 부분을 금방 찾아 해결에 도움이 되도록 하고 싶었다. 먼저 리눅스는 Window에서 텔넷에 접속한 뒤 서버에 접속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위 시작화면을 보면 ls, cd mkdir 등 용어가 보이는데 가장 먼저 사용하게 되는 순서로 설명하겠다. 2번째 줄에 ls를 입력했을 때 나오는 (CNU cds-~~부분)을 보면 현재 파일 시스템에는 어떻게 구성이 되어있는지를 알 수 있다. 쉽게 말해서 리눅스 환경에서도.. 2023. 6. 28. 이전 1 다음